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아르바이트 또는 임금을 받는 다양한 일을 하고 있다면 주휴수당에 대해 알고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어야 불이익 없이 임금을 받을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여러분이 임금체불 없이 돈을 받을 수 있도록 주휴수당 계산법 등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쁘신 분들은 아래링크를 통해 빠르게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휴수당이란?
근로기준법 제 55조에 따라 사용자는 1주일간 꾸준히 근로일수를 채운 노동자에게 평균 1회 휴일을 지정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는데요.
이 법적 제도가 주휴일이며 주휴일에 대한 임금을 주휴 수당이라고 합니다. 주휴수당은 아르바이트생, 상시 및 단기간 근로자 관계없이 노동을 하는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
1주일간 휴일 없이 꾸준히 일하신 분들은 주휴 수당을 계산을 통해 임금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노동 OK - 주휴수당 계산 확인)
주휴수당 지급기준
아르바이트, 계약직, 정규 및 비정규직 일 형태와 무관하게 일정 시간 이상 근로에 종사하는 분들이라면 주휴 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 수당 지급 기준은 1주일 기준으로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되어야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주 3회 근무, 15시간 이상 노동을 했다면 주휴 수당을 받을 수 있으니 주휴수당 지급 기준에 대해 정확히 알고 계시기 바랍니다.
또한 1주일 간 하루도 쉬지 않고 일했더라도 금요일에 퇴사하면 주휴 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다음 주에도 꾸준히 직장 또는 사업장에서 일을 해야 주휴 수당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랄게요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 수당을 계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주휴수당 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노동 OK 홈페이지 접속 하신 후 급여 형태 (시간, 일급제, 통상근로자)를 설정하신 후 1주일 근무 소정시간과 급여액을 입력하시면 주휴수당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일급제의 경우 계산방식도 손쉽게 따라 할 수 있으니 주휴수당을 지급받기 원하시는 분들은 따라 해 보시는 걸 추천드리겠습니다. 또한 노동자 OK홈페이지에서는 주휴수당뿐 아니라 실업급여, 해고수당, 휴업수당 등을 알 수 있고 간편히 조회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1주일 평균 15시간 근무 시 1일 임금액을 받습니다. 즉 하루 6시간 근무했다면 6시간에 대한 주휴수당을 지급받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은 1주일 소정근로시간 40시간이 기준이 됩니다.
- 40시간 이상 주휴 수당 계산법 : 8시간 × 최저시급 = 주휴수당
- 40시간 미만 주휴수당 계산법 : (1주 총 근로시간 /40시간) × 8시간 × 최저시급
주휴수당 미지급 시 신고방법
주휴수당 지급은 근로기준법상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업장 및 업주는 꼭 지급을 해야 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을 통해 주휴수당을 계산했을 시 받지 못하거나 누락되어 받았다면 고용주는 임금 체불 상태가 됩니다.
고용주는 주휴수당 지급 즉 임금 체불 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자 분들은 주휴수당을 받지 못하고 지속적인 항의를 하더라도 고용주가 주휴수당을 미지불하는 경우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온라인 신고하거나 직접 고용노동부에 방문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
(임금체불 신고 바로가기)
맺음말
지금까지 주유수당 계산법, 지급기준 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을까요? 주유수당계산법에 대해 정확히 알고 불이익당하시지 않길 바랄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세계상품권 현금교환 사용처 총정리 (0) | 2023.09.27 |
---|---|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서비스 신청방법 (0) | 2023.09.27 |
개인회생 신청자격 절차 총정리 (1) | 2023.09.26 |
자녀장려금 자격조회 지급시기 총정리 (0) | 2023.09.25 |
챗gpt 사용법 총정리 (1)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