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복지제도를 시행 중인데요. 경기도 거주 청년들을 대상으로 2분기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25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방법 확인하시고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이란?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들에게 경제적 안정 제공과 청년들의 자기 계발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정책인데요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은 청년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경기도의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청년들에게 25만 원을 지급하는 사업입니다.
지원대상
· 연령 기준 및 지원자격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신청 지원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1998년 4월 2일~1999년 4월 1일 내 출생자로 2023. 4. 1 기준 만 24세가 연령기준입니다.
→나의 만나이 확인 바로가기←
또한 경기도에서 신청일 기준으로 최근 3년 이상 거주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한 청년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및 기간
2023년 2분기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신청기간은 2023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됩니다.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신청은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신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지원내용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은 2023년 2분기 기준으로 1인당 월 25만원씩 지급되며 지급 방법은 경기도 각 시군 지역 화폐로 청년들에게 지원됩니다.
자세한 지급일정은 아래 표를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 2분기 지급일정
분기별 | 연령 기준 | 지급대상자 생년월일 | 신청기간 | 심사 및 선정기간 | 지급개시 |
2분기 | 23. 4. 1 | 98. 04. 02 ~ 99. 01. 01 | 23. 6 .1 ~ 6. 30 | 23. 6. 14. ~ 7. 10 | 7. 20 |
지급 개시일은 부득이한 사유로 인해 변경 될 수 있으며 시·군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성남시의 경우 2분기 지급 개시는 10월 이후 예정이니 성남시민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청년 기본 소득 지급방법
경기도 청년 기본 소득 지급방법은 카드, 모바일, 지류를 통한 시·군 지역화폐 방식으로 지급됩니다. 성남시는 카드 또는 모바일, 시흥,김포시는 모바일로 그 외 시군은 카드로 지급 됩니다.
지역화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경기 지역화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급방법 및 사용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지역은 초본 주소상 시 군 내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전통 시장 및 소상공인 업체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특히 백화점, 대형마트, 유흥업소, 연매출이 10억 이상인 점포는 제외하니 사용처를 꼭 확인해 주세요
문의처
기타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에 대한 궁금한 점에 대해 직원과 상담을 원하시면 경기도 콜센터(031-120) 또는 경기도일자리재단 콜센터(1899-2321)를 통해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경기도 지역화폐 안내 사항
경기도 지역화폐는 주민등록초본 상 주소지 시군의 지역화폐에 정책수당으로 지급됩니다. 기존 지역화폐 카드 발급자의 경우, 정보를 잘못 입력하거나 개명, 핸드폰번호 변경 시 카드가 재배송될 수 있습니다.
※ 이름, 생년월일, 핸드폰 번호가 일치해야 기존 카드에 정책수당이 지급됩니다.
성남시
· 청년 소득 신청기간에 별도 지역화폐 신청이 필요합니다.
· 모바일 신청 시 본인명의 휴대전화의 모바일 앱 (지역상품권 chak) 설치 후 회원가입
· 전자카드를 이용할 경우 신한카드 콜센터 (1577-7000) 및 신한카드 홈페이지에서 '청년배당' 검색 후 성남사랑카드 발급
· 성남시 지역화폐 신청 관련 문의는 지역주민센터 및 콜센터 (1577-3100)을 통해 상담받을 수 있음
시흥시
· 모바일 앱 지역상품권 chak 설치 후 회원가입
· 한국 조폐공사 콜센터 (1577-4321)을 통해 상담 및 문의 가능
김포시
· 청년기본소득 신청과 별개로 지급일 5일 전까지 '김포페이' 발급 필요
· 지역화폐 신청자 명의 휴대전화로 모바일 앱 '김포페이' 설치 후 회원가입 및 모바일 카드 발급
· 김포페이 관련 문의는 (1811-6020)을 통해 상담받을 수 있음
그 외 28개 시·군
지역화폐 카드 미발급 청년은 수령받은 전자카드를 등록해야 25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기지역화폐 전자카드 미발급 자라면 일반우편으로 배송받은 전자카드를 등록해야만 정책 수당 지급이 완료됩니다.
· 본인 명의 휴대폰의 모바일 앱 '경기지역화폐' 설치 후 전자카드 등록하기
· 본인 명의 휴대전화가 없다면 pc를 이용해 경기지역화폐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카드 등록
기타 경기지역화폐 전자카드 등록에 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경기지역 화폐 고객센터 1899-7977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2분기 25만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경기도 청년을 위한 복지혜택 꼭 확인하시고 얻어 가시기 바랍니다.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방법 및 지원대상 총정리 (0) | 2023.06.08 |
---|---|
e서울사랑 상품권 사용방법 및 사용처 혜택 총정리 (1) | 2023.06.08 |
서울시 청년수당, 신청방법 및 사용처 안내 300만원 지원 (0) | 2023.06.07 |
문화누리카드 신청방법 및 사용방법 혜택 총정리 (0) | 2023.06.07 |
탄소중립실천포인트 신청방법 및 혜택 바로 가기 (0) | 2023.06.05 |